미국 금융포용 해외 탐방 연수기 - ①금융 포용을 넘어 재무건강으로 'CFSI'

2019-01-04
2018년 10월 15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메트라이프 재단의 후원으로 “US- Korea Financial Health Learning Exchange”라는 이름의 해외 탐방 연수를 다녀왔습니다.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을 넘어서 미국에서 폭넓게 정의되고 활용되고 있는 재무건강(Financial Health)이라는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미국 내에서 저소득, 저신용 취약계층의 자립을 위해 재무건강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여러 기관들을 방문하여 한국의 재무건강 분야 성장과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US- Korea Financial Health Learning Exchange” 해외탐방 연수 기간 중 인상 깊었던 4개 기관들을 소개합니다.
 
① 금융 포용을 넘어 재무건강(Financial Health)으로 : CFSI
② 행동 경제학에 기반한 새로운 소셜 디자인 및 소셜 임팩트 : idea42
③ 50년 저력의 마이크로파이낸싱 선도기관 : ACCION
④ 빈곤에 대항하는 새로운 길 : Mission Asset Fund
 
1. 금융 포용을 넘어 재무건강(Financial Health)으로 : CFSI
 
CFSI(Center For Financial Services Innovation/cfsinnovation.org)는 2004년 이후 미국 내에서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의 균열로 인해 발생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특히 취약계층을 포함한 금융 소비자들의 재무건강을 증진시켜 다양한 기회의 가능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금융산업을 건강하게 증진시키고자 설립된 비영리기관입니다. 현재 연구, 컨설팅 등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재무건강(Financial Health)이라는 개념은 금융 소비자인 개인을 대상으로 재무적 측면에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준비도, 다양한 기회를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 현재 가지고 있는 일상적인 재무 관련 활동들을 점검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지출’, ‘저축’, ‘대출’, ‘계획’ 이라는 4가지의 큰 틀이 사용됩니다.
즉 ▲수입 대비 지출 현황(지출) ▲납부해야 할 것들은 제때에 납부하고 있는지 여부 ▲유동성이 있는 저축과 장기 저축 또는 자산의 보유 현황(저축) ▲감당할 수 있는 빚의 보유 여부와 높은 신용 점수를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대출) ▲적합한 보험 보유 현황과 지출을 위한 사전 계획의 여부(계획) 등의 세부 항목들로 측정됩니다.
 
이를 통해서 환산된 CFSI Financial Health Score를 기준으로 40점 미만일 경우 금융취약계층, 40점에서 80점 미만은 금융현상유지층, 그 이상은 금융건강계층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2018년 이러한 지표를 바탕으로 구성된 140여개의 질문을 5,000여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금융건강계층은 약 28% 정도에 불과하며 17%는 금융소외계층에 속하였다고 합니다.
또 47%는 현재의 소득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지출을 하고 있고, 35%는 각종 청구서를 제때에 완납하지 못하고 있으며, 65%는 최소한의 생존 비용인 6개월의 생활비를 감당할 수 있는 저축액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현재 빚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는 30%에 불과하며 27%는 ‘fair’나 ‘poor’의 신용 점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현재 미국의 경기가 좋고, 실업율이 낮다고 언급되는 것과 달리 재무건강 측면에서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18년 갤럽에서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무건강(Financial Health or Financial Security) 관련 연구에 의하면, 금융포용 관련된 사안 중 가장 기본적으로 언급되는 계좌보유 관련 항목에서 미국, 영국, 일본, 한국 등이 90% 이상의 계좌보유율을 보여주는 반면 재무건강도 측면에서는 미국이 33%, 한국이 39% 정도의 수치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금융포용적 이슈가 곧바로 재무건강과 연계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무건강은 나라별 고용, 소득 수준 및 형태, 생활비 수준, 신용점수 등과 더 크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이러한 조사연구는 금융포용이라는 제도적 보완을 넘어서, 개개인의 재무건강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와 비교하면 한국은 취약계층 및 서민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공급의 방식에만 초점이 맞추어 졌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청년층과 노인층과 같은 세대별 재무건강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층별, 대상별 재무건강 상황에 맞게 금융상품 및 서비스가 혁신되고, 다양한 지원정책이 마련되길 바랍니다.
 
다행인 것은, 금번 연수에 동행한 서울대학교 최현자 교수님과 연구진, 그리고 한국FP학회가 CFSI에서 실시한 재무건강 관련 연구조사와 같은 인덱스를 한국 메트라이프 재단의 후원으로 한국적 상황에 맞게 공동 개발하였고, 2018년 10월 말부터 ‘우리집 재무건강 5분 체크인’(www.finhealthindex.org) 이라는 이름으로 웹상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는 국내의 여러 기관들이 현장에서 대상자의 현황조사 및 지원체계 설계 등을 마련할 때 널리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면 합니다. 또 많은 데이터가 누적되고 분석되어서 미국에서의 조사연구처럼 한국적 재무건강(Financial Health) 현황 지표가 공개되고, 정부 등의 정책마련에도 좋은 영향을 끼쳤으면 합니다. 
글/ 안준상 사회연대은행 지원본부장
 
※ 위 글의 이미지는 CFSI의 발표자료, 재무건강 5분체크인 플랫폼의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 존재하는 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