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 변화 이야기

지방자치단체와 사회적기업이 연계해서 사업을 하려면?

2012.12.03

에코 노믹스 월간세미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하는 그린캠페인’


최근 사회적기업 분야에서는 공공조달 확대, 공공시장 활성화 등 사회적기업과 공공영역의 연계에 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홍보 및 인식개선이 필수적인 친환경분야 사회적기업의 경우 대상이 넓은 공공영역과의 협력이 더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친환경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사회적기업들이 있습니다.
서울시와 함께 시 관할 어린이집에 친환경 천기저귀를 보급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송지’, 인천메트로 역사 안에 녹지공간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조경 시스템을 만들어 역내 공기 정화 효과까지 거두는 예비 사회적기업 ‘그린스테이션’이 그 주인공입니다.
사회연대은행과 LG전자는 이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영역, 지방자치단체와 함께하는 효과적인 그린캠페인을 위해 사회적기업이 우선 준비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사회연대은행과 LG전자는 ‘녹색성장분야 예비사회적기업 성장지원사업’의 일환으로 8월부터 ‘에코 노믹스 월간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 '그린스테이션' 박병찬 대표

<그린스테이션>
시작은 ‘그린스테이션’의 사업소개와 사례발표로 진행되었다.
그린스테이션은 올해 6월에 인증을 받은 예비사회적기업이다. 도시형 녹화 시스템 도입, 취약계층의 일자리 제공 등을 미션으로 갖고 있다.
사업 초기에 지하철 역사 녹화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하철 광고를 수익모델로 생각하고 진행했으나 기존 지하철 광고 업체를 비롯해 지하철 공사의 업무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해 난항을 겪었다.
이를 토대로 다른 수익 모델을 모색한 결과 비교적 접근이 쉬운 도시농업 후원기업, 학교, 학부모 등을 타겟으로 설정하고 사업을 추진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현재는 초등학교 등에 수경 재배 시스템을 설치에 수익을 올리고 있다.
그린스테이션 박병찬 대표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은 관공서와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기업 우대정책’으로 인해 비교적 협조받기 편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관공서의 예산, 구조 등을 미리 파악하고 사회적기업이라는 위치를 잘 살린 홍보 및 기획전략을 수립한다면 충분히 성공 가능성이 높다.


▲'송지' 황영희 대표

<송지>
일회용 기저귀 사용으로 인해 1년에 10억 그루의 나무와 오존이 사라지는 등 환경부담이 큰 반면, 천기저귀는 빨기 힘들다는 불편함이 있다. ‘송지’는 천기저귀를 대신 빨아줌으로써 환경을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실제로 천기저귀 사용으로 인해 아동 한 명다 72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있으며 100명의 아이들이 성인 한 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서울시와 함께 시 관할 어린이집에 친환경 천기저귀를 보급함으로써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송지’는 처음에는 무식(?)하게 공모사업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그러다 환경단체 및 서울시 복지관련 단체, 정부 기관 등등과 토론회를 개최하고 인식전환에 힘쓰는 한편 관공서 등 공공영역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음으로써 지금과 같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재 서울시 4개구가 ‘송지’의 사업을 시범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 ‘송지’의 계획이다. 더 나아가 프랜차이즈로 확대할 예정이다.
‘송지’ 경우 공공영역과 함께 일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중적 지지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환경컨설팅 회사 '에코프론티어' 이한경 본부장

<에코프론티어 이한경 본부장이 알려주는 ‘지방자치단체 연계 사업 추진 전략’>
기업은 자생능력이 있어야 한다.
아이템과 경쟁상대의 유무 등을 고려해야 한다.
사업의 타겟팅하고 있는 고객군을 명확화 하여 표현해야 한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녹색기술과 관련해 좋은 아이디어와 아이템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 실패한다. 특허는 결코 우리를 보호해주지 않는다.
결국은 경쟁업체와의 차별성이다. 후발 경쟁업체들은 더 좋은 서비스를 들고 올 것이다. 시장 진입 장벽이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더욱 그렇다. 시장 규모가 커지면 오히려 대기업이 들어 올 수도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사업을 연계할 때는 전국단위로 할 것인가, 지자체에 집중할 것인가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중앙정부에서 씨드머니를 끌고 나오면 지자체의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협상력이 훨씬 크다.
담당자가 바뀌면 사실상 지자체 사업은 없어질 수 없다. 영원한 친구가 될 수 없다. 지자체와의 사업 연계는 시장 진입시 도움닫기용으로만 쓸 수 있을 것이다.
본인이 사회적기업이 아니더라도 수익이 날 수 있는 기업인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



▲질의 응답을 한 발표자들



  • 존재하는 파일이 없습니다.